고급 운전방법-브레이킹편





자동차에 있어서 달리는 것보다 중요한 것이 제동이다. 차를 세울 수 있는 운전자만이 달릴 자격이 있다는 말이 있으며, 제동은 아주 정복하기 힘든 테크닉 중에 하나이다.
여기서는 풋 브레이킹만을 다루며, 엔진블럭을 이용한 제동은 다음에 다루기로 한다.
제동을 가하기전 가장 중요한 것은 1초 먼저 브레이킹을 하는 것이다. 자동차가 시속 100km/h로 주행중 차는 초당 27.5m씩 전진한다. 때문에 고속에서 브레이킹 포인트가 1초가 빨랐을때와 1초가 느렸을때를 비교해보면 각각의 제동거리가 얼마만큼 차이가 나는지 짐작이 갈 것이다. 빠른 브레이킹을 하기 위해서는 앞차의 흐름을 좌우하는 그 앞차, 즉 자신의 앞에 앞에 차의 주행을 주시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옆차선에서 내차 앞에 차의 앞쪽으로 어떤차가 끼어들 경우 당연히 앞차는 제동을 가할 것이다. 우리나라처럼 안전거리를 제대로 확보하지 못한 이러한 주행여건에서 위와 같은 상황에서 앞차가 제동을 가하는 것을 보고 제동을 가한다면 분명 한박자 늦은 브레이킹이 된다. 자기차 앞의 상황을 보고 앞차보다 먼저 제동을 가하는 식의 운전을 익혀야한다. 시야를 넓히는 운전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위급한 상황이 닥치기 전에 한박자 먼저 브레이킹을 가하는 것이 그 어떤 브레이킹 테크닉보다 중요함을 먼저 알아야겠다.
그 다음으로 브레이킹을 가할때 중요한 것은 브레이크를 부드럽게 다루는 것이다. 보통 일반 운전자는 자신이 제동을 부드럽게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브레이크 패달을 밟는 운전자는 그순간 반사하기 때문에 브레이크를 세게 밟아도 몸이 앞으로 쏠린다든지 하지 않는다. 문제는 동승자이다. 동승자의 목이나 몸이 앞으로 쏠리는것으로 자신의 브레이킹이 거친지 부드러운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는 브레이크를 때리거나 치는 방법은 피해야 한다는 말이다. 브레이크 패달을 꾸욱 누르는 습관을 오른발에 익혀야 한다.
좀더 자세히 말해 브레이크를 밟을때 제동거리에 맞게 밟는 양을 한번에 힘주어 밟는 것이 아니라 밟을 살며시 패달에 대고 서서히 누르는 방법을 의미한다.




혹자는 이로인해 제동시간이 길어질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최대제동은 타이어가  lock되어 지면에 끌리기 직전의 상태에서 얻어지며, 따라서 급한 상황에서 급브레이킹시 타이어가 지면과 lock되는 포인트가 지연되므로 제동거리에서 엄청난 이득을 볼 수 있다.
위와같은 테크닉을 익히기 위해 뻔히 앞에 신호등에 빨간불이 켜져있는데, 전력으로 달려가 바로 앞에서 제동을 가하는 식의 운전방법을 피하고 미리 속도를 줄여 서서히 정차시키는 습관이 필요하겠다.
카레이서를 비롯한 고도로 훈련된 드라이버가 서킷에서 한계상황으로 차를 몰아붙이는 과정에서도 엄청나게 짧은 제동거리를 유지하면서도 얼마나 부드럽게 브레이킹을 하는지를 보면 브레이킹을 정확히 익히는데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함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불가피하게 급제동상황을 만나 최소한의 제동거리를 위해서는 한계제동을 해야만 한다. 한계제동이란 타이어가 지면과 lock되기 직전의 상태를 운전자가 임의로 유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지점을 파악하기란 매우 힘들다.
때문에 타이어가 지면과 lock되는 지점에서 브레이크 패달에서 약간 힘을 빼서 unlock상태를 만들어야되는데, 이렇게 lock과 unlock을 순간적으로 반복해서 만드는 브레이킹을 펌핑브레이킹이라고 한다.
혹자는 의도적으로 처음부터 브레이크 패달을 때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인 펌핑브레이킹을 하지만 이는 그리 좋은 방법은 아니다.




위와같은 방법으로 브레이킹을 하면 lock되었을 당시의 스키드 마크가 일정한 간격으로 표시될 것이다.
정말 능숙한 드라이버라면 초기에 lock되었을때의 스키드마크 이후에는 거의 스키드마크가 없어야 한다.
이는 운전자가 lock된 타이어의 lock을 풀고 다시 브레이킹을 가할때 그 지점을 알고 한계제동에 거의 근접한 제동을 가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일반운전자의 경우 100km/h로 주행중 풀 브레이킹을 가할때 약50m의 제동거리가 필요하지만 전문드라이버의 경우 25m정도의 제동거리면 차를 세울 수 있다.
주로 주행중 접촉사고가 나는 경우는 제동거리가 불과 1m만 짧았어도 피할 수 있는 가벼운 사고가 대부분이다. 브레이킹을 제대로 익혀야하는 충분한 이유가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브레이킹은 하지 않을 수록 좋은 것이다. 브레이킹을 불필요하게 사용하는 식의 운전은 연비를 악화시킴과 동시에 브레이크 패드와 타이어가 금방 마모가 되는 등의 비효율적인 운전이 된다. 올바른 브레이킹 습관은 그 어떤 안전장비보다 효과적인 능동적 안전이라는 것을 알아야겠다.

profile